안녕하세요 아이티 박사 호입니다.
오늘은 원전 관련 주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아이티 발전과 AI 발전으로 많은 전기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환경문제도 있고 정치적인 문제로 원전은 정말 말도 많고 주식 시장에서는 항상 뜨거운 감자인데요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우리나라가 원전의 강자중 하나입니다. 그외에 미국의 원전 시장도 트럼프 정부에 기조와 맞물려 괜찮은 시장중에 하나입니다.
그럼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1. 대한민국 원전 관련 주식
주식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원일티엔아이, 비에이치아이, 우리기술, 한전산업, 한전기술, 수산인더스트리, 두산에너빌리티, SNT에너지, 우진, 일진파워, 광명전기, 한국전력, 우진엔텍, 보성파워텍, 한전KPS, DL이앤씨2. 미국 원전 (SMR)관련 주식
미국의 경우는 SMR 소형 모듈형 원전이 정부의 지지로 많이들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일단 SMR이 무엇인지 알아보죠
Small Modular Reactor(소형 모듈식 원자로)의 준말. 기존 대비 작은 용량과 모듈식 설계를 채택한 원자로를 뜻한다. 원자력 발전은 기존의 화력발전을 압도하는 수준의 대출력을 낼 수 있으며,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보다도 적은 수준의 탄소를 발생시키는 친환경성까지 갖추고 있었으나, 치명적인 방사선을 내뿜는 사용 후 핵연료를 대규모로 남기고, 사고가 발생하면 수습하기 까다로운 데다 조기에 수습하지 못하면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같은 환경에 반영구적인 수준의 악영향을 남기는 초대형 사고로 번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앞서 말한 사고들이 발생하고 나서[2] 전 세계에 탈원전 기조가 유행하고 대형 원전 시장이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하자 원전업계에서 새로운 먹거리로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당위성에 대해 업계에서는 차원이 다른 안전성과 원전의 경제성, 친환경성을 모두 챙긴 신개념 원전이라는 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럼 마지막으로 나라별 원전 기술에대한 비교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라별 원자력
1. 미국
주된 원자로: PWR(압력수형), BWR(비등수형)
세대: 주로 2세대(Gen II)와 3세대+ (Gen III+)
특징:
세계에서 가장 많은 원전을 운전 중
최신형 AP1000(Gen III+) 같은 안전 설계 추가 모델을 짓고,
NuScale 같은 소형 모듈형 원전(SMR)도 개발 중
2. 프랑스
주된 원자로: 표준화된 PWR(900MW→1300MW 급)
세대: 2세대와 일부 3세대(Gen III)
특징:
전력의 약 70%를 원전에서 뽑아낼 정도로 의존도가 높음
모든 설비를 거의 동일한 모델로 통일해 관리·운영이 용이
3. 러시아
주된 원자로: VVER 계열(PWR 타입), 과거 RBMK, 패스트 브리더(BN 계열)
세대: 2세대부터 3세대+까지 단계적 전환
특징:
VVER-1200 같은 최신 모델을 수출 및 자국 건설
빠른 중성자를 쓰는 패스트 브리더 원전도 실증 운전 중
4. 중국
주된 원자로: CPR-1000/CNP-600(국산화한 2세대), Hualong One/CAP1400(3세대+)
세대: 2세대→3세대+ 사이, 그리고 흑연 연료 소형로(HTR) 실증
특징:
서구 모델을 베이스로 빠르게 현지 기술로 전환
소형 고온가스로(HTR-PM) 실증 완료, 패스트 리액터도 개발 중
5. 한국
주된 원자로: OPR1000(Gen II+), APR1400/APR+ (Gen III+)
세대: 2세대 개량형부터 3세대+까지
특징:
자체 설계한 APR1400을 UAE에 수출해 운전 중
SMART라는 소형 모듈형 원전(SMR) 개발도 한창
6. 일본
주된 원자로: BWR(비등수형) 중심, ABWR(고급형 BWR), PWR도 다수
세대: 2세대 및 일부 3세대
특징:
후쿠시마 사고 이후 엄격한 안전 심사를 거쳐 단계적 재가동
기존 설비를 최대한 오랜 기간 연장 가동
7. 캐나다
주된 원자로: CANDU(중수로, PHWR)
세대: 2세대 위주, EC6(Gen III) 개발 중
특징:
자연 우라늄 연료를 쓰고, 운전 중에도 연료 보충이 가능
중수로 특성 살린 다양한 SMR 로드맵 보유
8. 인도
주된 원자로: PHWR(중수로) 220MW급 다수, Tarapur BWR, 소형 Fast(고속)로
세대: 2세대부터 3세대+ 계획, 토륨 연료 시도
특징:
토륨 연료 주기를 연구하며 독자적 확장 전략
2047년까지 원전 용량 크게 늘릴 목표
9. 영국
주된 원자로: Magnox(1세대), AGR(2세대), Sizewell B PWR(3세대)
세대: 1→2→3세대 흐름, Hinkley Point C(EPR) 3세대+ 건설 중
특징:
오래된 Magnox를 단계적으로 퇴역시키고,
Rolls-Royce SMR 같은 소형로 개발도 추진
한눈에 보는 차이점
PWR vs BWR:
PWR은 원자로 내부 압력이 높아 물이 끓지 않고 열교환기로 전달 → 간접 냉각
BWR은 원자로에서 직접 물이 끓어 증기로 발전기 구동 → 구조 단순
세대 구분:
Gen II: 전통적인 설계, 많은 수 보급
Gen III/III+: 향상된 안전장치(피난 구역 축소, 자동 정지 등) 추가
SMR: 작은 모듈 단위로 공장에서 조립 → 건설 기간 단축, 소규모 발전소 가능
0 Comments